본문 바로가기
복지

기준중위소득이란? 쉽게 이해하는 정의와 활용법

by 복지스토리 2025. 5. 20.
반응형

기준중위소득이란?

기준중위소득은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핵심 기준입니다.
정부가 국민 전체의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한가운데에 위치한 금액을 의미하며, 매년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합니다.


✅ 기준중위소득, 왜 중요한가요?

  • 복지 수급 자격을 결정하는 기준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청년·노인 지원 정책의 신청 자격 기준
  • 각종 복지정책의 소득기준 산정의 기준값

즉, 내가 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을 가늠하는 ‘기준점’입니다.


📌 2025년 기준중위소득 (가구원 수별)


가구원 수 중위소득 100%(월 기준)
1인 가구 2,392,013원
2인 가구 3,932,658원
3인 가구 5,025,353원
4인 가구 6,097,773원
5인 가구 7,108,192원
6인 가구 8,064,805원

 

예: 2인 가구의 월 소득이 200만 원이라면, 기준중위소득 100%보다 낮고 50% 수준(약 1,966,329원)에 해당함.


🧾 기준중위소득은 어떻게 활용될까요?

복지 제도마다 기준중위소득의 비율을 적용해 자격을 정합니다.

예시

  • 기초생활보장제도: 중위소득 30~50% 이하
  • 차상위계층: 중위소득 50% 이하
  • 청년 월세 지원: 중위소득 150% 이하
  • 아동수당: 중위소득 상관없이 지급 (보편 정책)
  • 에너지 바우처: 중위소득 50% 이하 및 일부 예외 가구

💡 내가 받을 수 있는 복지 확인 방법

  1. 복지로 '모의 계산기' 이용
    👉 www.bokjiro.go.kr
    소득정보와 가구원 수 입력만으로 가능!
  2. 주민센터 상담
    가까운 동주민센터에서 신청 가능한 복지제도 안내 가능
  3. 정부24에서 복지 안내서 확인
    👉 www.gov.kr

📎 정리하면?

  • 기준중위소득은 내가 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의 잣대
  • 가구원 수에 따라 금액이 다르며, 매년 변경됨
  • 정확한 확인과 활용으로 내가 받을 수 있는 복지를 놓치지 말 것!

복지는 ‘아는 만큼’ 받을 수 있습니다.
기준중위소득부터 정확히 이해하고, 복지 제도 신청 여부를 꼼꼼히 확인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