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

2025년 중위소득 및 차상위계층 기준 완벽 정리

by 복지스토리 2025. 5. 20.
반응형

2025년 중위소득 및 차상위계층 기준

복지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자신의 소득이 중위소득 대비 어느 수준인지, 차상위계층에 해당하는지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년 최신 기준을 바탕으로 중위소득과 차상위계층의 정의, 선정 기준, 그리고 활용 방법까지 상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은 대한민국 모든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이는 정부가 복지 정책의 수급자 선정 기준으로 활용하며, 매년 보건복지부 장관이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고시합니다.


✅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월 소득 기준)

가구원 수 중위소득 100% 중위소득 50%(차상위계층 기준)
1인 가구 2,392,013원 1,196,007원
2인 가구 3,932,658원 1,966,329원
3인 가구 5,025,353원 2,512,677원
4인 가구 6,097,773원 3,048,887원
5인 가구 7,108,192원 3,554,096원
6인 가구 8,064,805원 4,032,403원
 

✅ 차상위계층이란?

차상위계층은 기초생활수급자 바로 위의 소득 계층으로,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50% 이하인 가구를 말합니다. 이들은 기초생활수급자에 해당하지 않지만, 여전히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어 다양한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2025년 차상위계층 선정 기준

차상위계층으로 선정되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1. 소득인정액: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50% 이하일 것
  2. 재산 기준: 가구의 재산이 일정 기준 이하일 것
  3. 기초생활수급자 제외: 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닐 것

✅ 소득인정액 계산 방법

소득인정액은 실제 소득과 재산을 월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을 합산하여 산정합니다.

  •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출처: 보건복지부 


✅ 차상위계층 지원 혜택

차상위계층으로 선정되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생계 지원: 기부식품 제공, 양곡 할인, 장애수당 등
  • 의료 지원: 여성 청소년 용품 지원, 노인 인공무릎 관절 수술 지원 등
  • 교육 지원: 국가장학금, 평생교육바우처, 유아학비 지원 등
  • 주거 및 돌봄 지원: 에너지 효율 개선, 가사간병 방문 지원, 노인맞춤 돌봄 서비스 등
  • 문화 및 법률 지원: 통합문화이용권, 스포츠 강좌 이용권, 법률 조언 무료 제공 등

✅ 중위소득 활용 팁

  • 복지 수급 여부 판단: 자신의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의 몇 퍼센트에 해당하는지 확인하여 복지 수급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 모의 계산기 활용: 복지로(www.bokjiro.go.kr)에서 제공하는 모의 계산기를 통해 자신의 소득인정액을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 주민센터 상담: 가까운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복지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자신의 소득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고, 해당하는 복지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 정보를 참고하여 필요한 지원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