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부모가정 지원금은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한부모가정을 지원금을 지급함으로써 경제적 지원을 해주는 복지제도입니다. 어려운 환경에서도 아이와 한부모가 행복한 일상을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이며 자격과 신청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한부모가정 지원금이란?
한부모가정 지원금은 저소득 한부모가족의 아동양육비, 아동교육지원비, 생활보조금 등의 지원을 통해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가정의 생활안정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일반적으로 한부모가정이란 아버지와 자녀, 어머니와 자녀로 구성된 가족을 의미하지만 조손가구도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조손가구는 할머니, 할아버지와 손주가 함께 사는 가정을 의미합니다.
한부모가정 지원금은 자녀의 나이가 18세 미만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취학 시 22세 미만까지 혜택이 연장되므로 정확하게 확인을 하시기 바랍니다.
한부모가정 지원금 신청자격
2023년 한부모가정 지원금은 신청자격은 기준 중위소득 60%이하, 청소년한부모인 경우 기준 중위소득 65% 이하면 신청할 수 있었습니다. 2024년에는 기준중위소득인 60%에서 63%로 확대되었습니다. 확대로 인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이 증가되었으니 기존에 지원이 불가했던 한부모가정도 다시 한번 기준에 대한 상담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가구규모 | 2024년 중위소득 | 아동양육비 등 복지급여 지원, 한부모가족증명서 발급 (기준중위소득 63%) |
2인 가구 | 3,682,609원 | 2,320,044원 |
3인 가구 | 4,714,657원 | 2,970,234원 |
4인 가구 | 5,729,913원 | 3,609,845원 |
5인 가구 | 6,695,735원 | 4,218,313원 |
6인 가구 | 7,618,369원 | 4,799,572원 |
기준 중위소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2024 기준 중위소득 및 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선정 기준 알아보기
2024년도 기준 중위소득이 6.09% 상향되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 상향에 따라 기초생활 보장제도의 수급자도 더욱 증가됩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기초생활 보장제도 및 각종 복지 사업의 수급자 선
bokjiroyo.tistory.com
한부모가정 지원금 혜택
한부모가정 지원 혜택은 아동양육비, 아동교육지원비, 생계비 등 기준 중위소득 조건에만 해당된다면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종류 | 지원대상 | 지원금액 |
아동양육비 |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63% 이하인 가족의 18세 미만 자녀 단, 고등학교 재학(고3 12월까지) 중인 경우 22세 미만 자녀 |
월 21만원 |
추가아동양육비 |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63% 이하인 조손 및 35세 이상 미혼 한부모가족의 5세 이하 아동 | 자녀 1인당 월 5만원 |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63% 이하인 25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한부모가족의 5세 이하 아동 | 자녀 1인당 월 10만원 | |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63% 이하인 25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한부모가족의 6세 이상 18세 미만 아동 단, 고등학교 재학(고3 12월까지) 중인 경우 22세 미만 자녀 |
자녀 1인당 월 5만원 | |
아동교육지원비 (학용품비) |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63% 이하인 가족의 중학생, 고등학생 자녀 | 자녀 1인당 연 9.3만원 |
생계비 (생활보조금) |
한부모가족복지시설에 입소한 가족 중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63%이하인 가족 | 가구당 월 5만원 |
단, 지원대상에서 제외되는 가구가 있으니 해당여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아동양육비
- 아동복지법에 의한 가정위탁양육보조금을 받는 경우 - 아동교육지원비(학용품비)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교육급여
- 장애인복지법에 의한 교육비 지원
- 긴급복지지원법에 의한 교육지원 - 생활보조금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생계급여를 지원받는 경우
- 긴급복지지원법에 의한 생계지원을 받는 경우
- 아동복지법에 의한 가정위탁양육보조금을 받는 경우
한부모가정 지원금 신청절차 및 방법
한부모가정 지원금 혜택은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으며 주민등록 소재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오프라인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지원금 신청 시 필요서류가 있으니 서류 목록을 확인하시고 상담을 받아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그 외 한부모 가족을 위한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면 아래 여성가정부에서 제공하는 한부모가족 홈페이지를 통해 추가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결혼하면 받는 지역별 결혼축하금 금액 조건 알아보기 (0) | 2024.01.30 |
---|---|
헷갈리는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신청조건 기준 혜택 총정리 (2) | 2024.01.29 |
LH행복주택 자격 및 신청방법 총정리 (2) | 2024.01.25 |
실업급여 기준 조건 금액 한번에 알아보기 (0) | 2024.01.18 |
2024 달라지는 임신 출산 양육 지원 알아보기 (2) | 2024.01.15 |